전체 글621 난꽃을 보다 - 2024.10.18~23 작년 11월에 도시농업 교육을 받으며..김성완 교수님이 주신 난..1년간 정성스레 키웠더니 꽃을 피운다.감동..난생 처음으로 난에 꽃을 피워본다.어느날 슬그머니 두송이가 피어있더니4,5일 지나서 나머지 한송이가 마주 피고..세송이가 활짝..난꽃이 이렇게 가까이에서 보는 것도 처음이다.꽃말은 "청초한 아름다움"이라는데..난꽃이 이렇게 아름답다는 것을 알아가는 것도 처음이다. 2024. 10. 23. 마지막 적엽과 이끼작업 - 2024.10.15 국화 전시회(11/01~11/03)를 앞두고마지막 적엽과 화분에 이끼 입히기 작업을 한다.시들거나 단풍이 들어버리거나 너무 큰 모잎은 잘라주고..화분에는 이끼를 입혀준다.교육생 모두가 아기 돌보듯이 화분 관리에 진심을 다하고 있다.국화는 어느새 꽃눈이 찾아와서꽃을 피울 준비를 하고 있다.화아분화후 25일 정도면 꽃이 핀다는데.. 2024. 10. 16. 대만 (야류 해양 국립공원) - 2024.10.14 4일차 여행의 마지막날..아침에 3일간 묵었던 호텔 주변을 돌아보고지질공원인 야류(野柳) 해양 국립공원을 둘러본 후에..공항으로 향하며 여행을 마무리 한다.도로에는 오토바이 정지선이 자동차 정지선보다 앞에 있어신호가 바뀌면 오토바이들이 총알처럼 튕겨나가고자동차들이 따라간다.지나가는 자가용은 대부분 일제 도요다..택시 마저도 도요다..일제의 지배를 1895년부터 1945년까지 50년간 받았다는데..반일감정은 별로 없는 모양이다.하긴 지금의 국민당은 1949년에 본토에서 이전했고..본토가 일제에 완전히 지배를 받은 것도 아니었으니이들의 반일감정은 우리보다 덜한 것도 이해가 간다. 야류 해양 국립공원이 곳의 바위들은 수천만 년 전부터 파도의 침식과 풍화 작용에 의해 독특한 모양의 바위로 생성된 것으로 거대한 .. 2024. 10. 16. 대만 (스펀, 지우펀) - 2024.10.13 3일차 오후타이뻬이 동쪽에 위치한 스펀(十分)과 지우펀(九(人分))을 찾는다. 스펀오래된 기차 노선인 핑시선의 작은 간이역이었던 스펀은 '꽃보다 할배', 대만 영화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소녀' 등의 다양한 매체에서 소개되면서 천등날리기로 유명세를 떨치고 있습니다. 기찻길을 사이에 두고 다양한 간식거리와 선물을 살 수 있는 가게들이 늘어서 있으며 천등에 소원을 담아 하늘에 날려보내는 사람들로 언제나 북적이는 곳입니다.(출처 : 하나투어) 스펀에서 천등날리기를 한다.천등날리기는 외세와 해적의 침략이 많았던 스펀에서부모들이 자식을 피신시킨 후 등을 올리면 안전한 것으로 생각하고 돌아오라는 의미로전해져왔다고 한다.천등의 사면에 가족들의 소원을 적고 등을 날린다. 지우펀1920~30년대 아시아 최대의 광.. 2024. 10. 16. 대만 (국립고궁박물관) - 2024.10.13 대만여행 3일차오전에는 국립고궁박물관을 보고오후에는 스펀과 지우펀을 찾는 일정이다. 국립고궁박물관세계 4대 박물관 중 하나인 대만 고궁박물관은 70만 점에 달하는 소장품이 있으며 중국의 찬란한 역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인기 소장품은 상설 전시로 관람할 수 있으며 옥, 도자기, 회화, 청동 등의 전시품은 3개월에 한번씩 교체 전시됩니다. 이곳의 전시품을 모두 관람하기 위해서는 하루종일 둘러봐도 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규모가 큽니다.(출처 : 하나투어) 중국 5000년의 역사가 전시되어 있다는 국립고궁박물관..국민당의 중화민국정부가 공산당에 쫓기어 대만으로 들어올때본토의 많은 유물을 함께 가져왔다고 한다.짧은 시간에 돌아보려니가이드가 지정하는 곳만을 주마간산 하듯이 훑어본다.상상했던 역사이야기는 없고주로 청.. 2024. 10. 16. 대만 (화산1914, 서문정 거리) - 2024.10.12 둘째날 오후에는화산1914와 서문정 거리를 본다. 화산1914화산 1914 창의문화원구는 낙후된 공장과 양조장을 문화예술공간으로 재탄생시켜 생기를 불어넣은 곳입니다. 타이페이 시내와는 다른 다양한 감성과 빈티지한 느낌의 카페, 상가, 잡화점 등 즐길거리 볼거리가 가득한 이색적인 공간입니다.(출처 : 하나투어) 화산1914에 도착..토요일이라 그런가작은 광장에서 많은 젊은이들이 모인 가운데Foodpanda에서 주최하는 공연이 한창이다.뒷편에서는 의자를 이용한 서커스 공연이 있다.공연장을 지나 예전에 양조장을 개조한 다양한 시설들을 본다.한쪽에는 중앙예술공원이 있어 많은 이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저녁식사후 젊은이들의 거리라는 서문정거리로.. 서문정 거리서울의 명동과 같은 서문정거리는 상점가와 영화관 유흥.. 2024. 10. 16. 대만 (우라이, 운선낙원) - 2024.10.12 둘째날오전은 우라이와 운선낙원..오후에는 화산1914와 서문정 거리가 예정되어 있다. 우라이타이베이에서 30km 정도 떨어져 있는 우라이(烏來) 마을은 온천으로 매우 유명한 곳입니다. 원래 소수 원주민인 타이야 족의 거주지였으나 온천수를 개발하여 관광지화 되었습니다. 마을 곳곳에서 일본과 비슷하게 온천과 숙박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시설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우라이는 원주민 말로 "뜨거운 물"이란 뜻으로 여기서 기인되어 우라이 마을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이곳은 온천뿐만 아니라 매우 아름다운 풍경으로 유명하며 우라이를 휘감고 있는 산은 고즈넉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출처 : 하나투어) 대만은 75%이상이 산이고..해발 3,000이상인 산이 250개가 넘는다고 한다.타이뻬이에서 조금 벗어나면 곧 바로 거대.. 2024. 10. 16. 대만 (101타워, 라오허제 야시장) - 2024.10.11 대만 여행2024.10.11~10.14가벼운 마음으로 짧은 일정의 대만 여행에 나선다.청나라의 지배를 받던 대만이청일전쟁에서 청나라가 패하고 1895년부터 1945년까지 50년간 일본의 지배를 받는다.이후 중국 본토를 지배하던 국민당 정부가1949년 공산당에 패배하면서 이곳으로 이주하여 중화민국이 되고..본토는 공산당이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을 세운다.중국의 압력에 밀려유엔에서도 강퇴당하고..China라는 국호도 사용하지 못하고Chinese Taipei라는 국호아닌 국호를 사용하고 있다.대한민국과의 수교관계도 취소당하고..아픔이 있지만 잘 살아나가고 있다.전체 일정은 타이뻬이, 우라이, 스펀, 지우펀, 야류 국립공원.. 첫날..오후에 타오위안(桃圓)공항에 도착해서수도인 타이뻬이(臺北)로 이동..대만의 최고.. 2024. 10. 16. 분갈이 - 2024.10.08 11월 국화전시회를 위해임시 화분에서 키워오던 국화들을예쁜 화분으로 옮겨준다.네개를 키우다 석부작이 죽고고참 교육생 한분이 석부작과 일반묘를 하나씩 더 줘서 다시 키운다.새로운 석부작은 노출된 뿌리가 아직은 약해서 흙으로 덮어주었다가오늘 이끼로 바꾸어 주고..그렇게 다섯개의 국화가 잘 자라고 있다.끈질기게 살아남은 국화들이다.더위가 가고 날씨가 선선해 지니바로 꽃눈이 여기저기 달려있다.계절이 바뀌고 조금 더 있으면 국화는 어김없이 꽃을 피우겠지.. 다음 주에는 나머지 화분도 이끼로 감싸주어야 한다. 2024. 10. 8. 칠곡 (낙동강 평화축제) - 2024.10.06 칠곡보 근처에서 칠곡 낙동강 평화축제가 있다.칠곡은 6.25때 치열한 낙동강전투를 치르면서대한민국을 지켜낸 호국의 도시이다. 칠곡에서 주관하는 축제 마지막 날..김천에서는 30분 내의 가까운 거리이다.점심식사후 오후에 출발한다. 축제장 근처는 애마들로 꽉차서 빈자리 찾기가 쉽지 않다.축제장과 조금 먼 거리에 애마를 두고 축제장으로 향한다.낙동강 서쪽에서는 군사무기를 전시하는 행사가 있고..동쪽에서는 먹거리와 각종 문화홍보 행사가 있다. 우선 칠곡보를 따라 서쪽으로 건너가서국가를 지키는 군사장비들을 둘러보고..다시 동쪽으로 와서 먹거리와 공연행사를 즐긴다. 낙동강물을 보니 녹조라떼는 없고상류에 비가 내렸는지.. 흙탕물이다.모래밭이 되었을 낙동강에 보가 만들어지니수량도 일년내내 일정하고.. 구상 시인의 평화.. 2024. 10. 7. 김천 (자산공원, 남산공원) - 2024.10.03 개천절..마음 같아서는 광화문에서 태극기를 휘날리고 싶지만김천에서 공원산책에 나선다.김천 시내에 있는 자산공원과 남산공원..김천 생활을 한 지 벌써 9년이 지나가지만시내의 공원이나 산은 올라보지 않았다. 자산공원김천시 성내동에 위치한 아담한 공원이다.요즘 꽃무릇이 한창이라니..비가 조금씩 내리고..적절한 곳에 애마를 세우고공원을 오른다.잠시 오르니김천의 구 시가지가 눈에 들어온다.예전 일제시대때는 감천을 따라 소금배가 들어오고..감호시장이 전국 3대 시장이 될 정도로 번창했었다는데..꽃무릇을 향해 오르는데지나가던 어르신이 김천과 관련한 여러가지 이야기를 들려준다.한참 이야기를 듣고 팔각정 쪽으로 오르는데..옆으로 2019베이징올림픽 유도 금메달의 최민호 선수와김천의 옛모습을 알리는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다.. 2024. 10. 3. 철사 제거 - 2024.09.23 국화가 꽃을 피울 시간이 점점 다가오고더이상 적엽은 없고남아있는 철사만을 풀어준다.기록적인 폭염을 견디고 살아왔는데..잎이 말라가는 불안한 녀석들도 보인다. 무더위에 과습이 문제라는데..이제 선선해지면 꽃은 잘 피우려나? 2024. 9. 24. 잘 살아낼까 - 2024.09.10 정말 듣보잡 폭염..날씨는 습하고 덥고..비닐하우스에는 그늘막도 없고물만 계속 주면 뿌리가 녹아내리고..방법이 없다.국화가 이 폭염을 이겨내고 예쁜 꽃을 피워낼수 있을까..힘들게 여름을 보내고 있다.2주전에 분갈이한 석부작도 아직은 살아있는데.. 2024. 9. 11. 도시농업 교육 (6) - 실내식물 인테리어 - 2024.08.29 도시농업 취업역량강화 마지막 교육일플랜테리어(Planterior)(식물(Plant) + 인테리어(Interior))와 관련한 교육을 하고..이어진 실습..꽃꽂이와 테라리움 만들기 테라리움 실습 재료 실습을 마치고가상의 재배식물을 이용한 팜파티..원자력공학자로서 30여년간 좁은 세계만 보다가제2인생의 시기가 되어서야새롭고 즐거운 지식을 많이 배운다. 팜파티를 마치고영광스런 수료식.. 꽃꽂이 화분 아래는 레몬에이드 음료..콩짜개와 이끼를 이용한 테라리움..잘 만들었으나 집으로 돌아오는 중에앞차의 돌발상황에 급브레이크를 밟아서테라리움 유리는 깨지고.. 집에 있던 플라스틱 용기에 다시 심는다. 2024. 8. 29. 최종 적심 - 2024.08.27 국화가 꽃피우기 전에 마지막으로 하는최종 적심하는 날..국화분재는 국화를 괴롭혀야 더 좋은 작품이 나오니..교육한지 몇개월이 지났지만국화는 별로 자라지도 못하고 고문만 당한다. 2주만에 찾았는데..야심차게 키워왔던 석부작 뿌리묘 국화가죽어있다.너무 더운 한달간의 듣보잡 무더위에견디지 못한 모양이다.뽑아보니 뿌리가 거의없다.교수님 말로는너무 더워서 뿌리가 물에 녹아 내렸다는.. 석부작이 아닌 기본묘들은 나름 더위를 잘 견디고 있다.최종 적심을 해야하는데..자란 것이 별로 없으니 적심할 것도 별로 없다.눈에 보이는 새순을 따주고금새 적심 완료.. 고참 교육생이 옆에서 보기 안쓰러웠던지..여분으로 키우던 뿌리묘를 하나 준다.다시 석부작으로 키워보려고분갈이를 하고 잔뿌리를 노출 시키고..뿌리가 상할까윗부분까.. 2024. 8. 27. 도시농업 교육 (5) - 교육기법 - 2024.08.27 오늘 교육은 도시농업관리사로서학교텃밭을 주제로 중학생 정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법을 배운다. 용어도 많이 배운다.업사이클링(Upcycling)이란 가치가 떨어진 재고품이나 재활용품을 새로운 디자인이나 활용을 통해서 가치를 높이는 것..도시농업에서의 업사이클링 텃밭작물 캘린더를 기초로시기와 수확후 활용계획(팜파티 등)을 고려하여 재배할 작물을 선택하고.. 커피박을 이용한 유기농 퇴비 만들기 유기농 살충제 1 - 난황유 만들기난황유는 진딧물 퇴치에 즉효.. 유기농 살충제 2 - 계피스프레이계피스프레이는 모기 기피제이며 일부 해충방제에도 효과가 있다. 업사이클링으로폐펫트병을 이용한 저면관수 화분만들기대상식물은 천냥금펫트병을 반으로 자르고..뚜껑에 저면관수용 심지를 박고윗부분을 거꾸로 세워 난석과 .. 2024. 8. 27. 영동 (반야사, 월류봉) - 2024.08.25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듣보잡 폭염과 열대야..한달째 이어지는 폭염과 열대야..어떻게든 살아남는게 최선이다.한낮에는 햇빛을 가리고 에어컨을 돌리고..밤에도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돌리며..간신히 하루하루를 보낸다.오죽하면 태풍이 오기를 기다리지만번번이 더운 공기에 밀려난다.주말에 영동군 황간의 반야사와 월류봉을 찾는다. 2024. 8. 26. 도시농업 교육 (4-2) - 현장견학 - 2024.08.22 도시농업 현장견학칠곡의 "꿀벌나라"꿀벌의 생애와 관련한 설명을 듣는다.수명이 45일..알에서 성충까지 20일..이후 20일은 애벌레를 키우고..벌집을 짓고.. 이꽃 저꽃을 찾아 꿀을 따고..5일은 벌통을 지키다 수명을 다 한단다. 운이 좋아서 겨울에 태어나면 일이 없으니 60~90일까지 산다는.. 일벌들이 벌통을 지키는데..말벌들이 날아와서 날고있는 일벌을 하나씩 먹잇감으로 채 간다. 양봉 벌집을 원통형 기구에 넣고 빙빙 돌리면원심력으로 벌집으로부터 꿀이 빠져 나온다. 2024. 8. 22. 이전 1 2 3 4 5 6 ··· 35 다음